투자자로써 부동산 공시지가 확인은 매우 큰 의미를 갖습니다. 부동산 보유가격에 따라 종부세, 재산세 등 각종 부동산 관련 세금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가 부동산 투자자라면 부동산 공시지가 이의신청 일자를 확인하셔서 내 소중한 자산을 보호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소중한 내 돈을 지키기 위해 부동산 공시지가 확인, 조회하는 법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2년 부동산 공시지가 확인
위 표를 보시면 2022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2021년 대비 17.22%가 상승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연초 30% 수준으로 상승될 것이라는 전망으로 다주택자분들이나 고가주택을 소유한 분들이 걱정염려가 많았는데 그나마 여론을 참고하여 30%수준 대비 절반 정도로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정한 듯 싶습니다.
공시가격 변동률의 전년 대비 하락폭은 세종이 가장 크며(△74.81%p), 울산(△7.78%p), 서울(△5.67%p), 대구(△2.96%p), 부산(△1.24%p), 경기(△0.74%p) 등 주요 지역의 변동률도 전년 대비 하락하였습니다.
공시가격의 현실화율은 `21년 70.2% 대비 1.3%p 제고된 71.5%로 당초 전망보다 소폭 변동되었습니다.
2. 부동산 공시지가 확인, 조회하는 법
2022년 부동산 공시지가 확인, 조회하는 법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아파트,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2022년 부동산 공시지가 초안 확인은 '22.3.24.일부터 가능합니다.
위에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링크를 들어가시면 위에 화면이 나오는데, 표준주택을 클릭하셔서 들어가시면 부동산 공시지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빨간색 네모칸을 클릭하시면 내가 사는 아파트, 빌라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공시지가 알리미' 확인 시 부동산공시지가 확인할때 공동주택 뿐만 아니라 표준단독주택공시지가, 개별단독주택공시지가 등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 공시지가 확인 이의신청 기간
공시가격에는 이의신청 제도가 있어, 본인의 공시가격이 다른 인근 비교대상대비 높게 책정되었다 하면 조정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21년 공동주택 공시가격 초안에 대한 이의신청 건수는 5만여건에 육박했으며
당연히 공시가격이 한해 70%이상 급등한 세종의 이의신청 건수는 전년대비 15배 이상 이의신청이 늘었습니다.
이의신청 접수 건수는 2018년 1290건, 2019년 2만8735건, 2020년 3만7410건으로 문재인 정권내내 가파르게 상승해왔습니다.
참고로 이의신청 접수건 중 실제 조정이 받아들여진 경우는 5%정도 입니다.
이의신청 기간은 3.24(목) ~ 4.12(화)으로 조회 해보시고 부동산 공시지가 확인 후 이의신청 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부세 합산배제 특례신청 방법 (부부공동명의) 등 총정리 (2) | 2022.09.17 |
---|---|
재산세 조회, 재산세 납부기간, 부과기준 등 총정리 (4) | 2022.07.10 |
6.21 부동산정책 임대차시장안정방안 총정리(윤석열 부동산정책) (3) | 2022.06.21 |
임대차3법 개편, 윤석열 부동산 정책 알아봅시다! (7) | 2022.04.13 |
청년전세자금대출 - 버팀목전세자금대출 (8) | 2022.03.13 |
부동산정책 - 윤석열공약으로 인한 변화 (6) | 2022.03.11 |
전입세대 열람내역서 발급방법과 필요서류 알아봅시다! (13) | 2022.02.16 |
착한임대인 세액공제 조건, 신청방법, 공제금액 알아봅시다! (12) | 2022.02.05 |